0:00 - Rip Post Up (0:32 - AI Cut - Rip Post Up)
립 스크린은 포스트업 수비자를 스크린해서 로우 포스트에서 공을 받기 쉽게 하는 스크린입니다.
이 동작은 모션위크에서도 보실 수 있고 다른 작전에서 립이 붙어있다면 포스트 옵션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.
듀란트가 주로 이용하고 12초 플레이처럼 변칙적인 모습도 보실 수 있습니다.
0:50 - Zip P&R
이 역시 듀란트를 위한 2:2 작전입니다.
안쪽에서 탑으로 이동하는 지퍼컷을 하고 바로 이어서 픽엔롤을 통해 공격하는 방식입니다.
1:36 - Stagger
1:27 - Floppy
커리가 오프스크린을 이용하여 공격하는 작전입니다.
위 지퍼픽엔롤 처럼 탑으로 올라오는 지퍼컷으로 공을 받고 커리가 3개의 스크린을 이용해 3점을 노리는 작전입니다.
플로피는 지퍼컷이 없고 탑에 공을두고 중앙에서 양쪽으로 돌아나오는 작전입니다.
2:27 - Elbow - Double Stagger
휴스턴도 많이 사용하고있는 더블스테거 입니다. 차이라면 그린이 공을 잡는 위치가 조금 다릅니다.
엘보에 공을 투입하고 반대쪽에서 두개의 다운스크린을 이용해 공격하는 방식입니다.
공격자의 진행방향과 스크린너의 슬립 컷 골스 특유의 스플릿컷등을 활용해서 다양한 변화가 있는 작전입니다.
2:56 - Motion Weak
많은 팀들이 사용하고있는 센안의 모션위크 입니다.
립포스트 이후 탑으로 올라오는 컷이 특징입니다
3:21 - Weave P&R
연속적인 2~3번의 드리블 헨드오프로 스위치 수비를 강요하고 픽엔롤로 연결해서 플레이 하는 작전입니다.
최근에는 많은 팀들이 쿼터 말미나 중요한 시점에 사용하고 있는 편입니다.
3:48 - Twist Double - Give & Go
4:02 - Ram P&R
4:11 - DHO
기습적으로 경기중 한번씩 사용한 3가지 작전입니다.
트위스트 더블 / 램스크린 픽엔롤은 다른 글에서 소개한적이 있어서 링크 남깁니다.
http://cafe.daum.net/ilovenba/8dXw/727
Teams Playtype : Off Screen - http://stats.nba.com/teams/off-screen/#!?sort=Time&dir=1
Teams Playtype : Cut - http://stats.nba.com/teams/cut/#!?sort=Time&dir=1
Teams Playtype : Transition - http://stats.nba.com/teams/transition/#!?sort=Poss&dir=1
골스의 공격은 오프스크린과 컷의 비중이 다른 팀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편입니다.
위 작전들이 이런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거 같고...
반면에 골스 경기 전체로 보면 이런 셋업 플레이보다 트렌지션의 비중이 더 높습니다.
보것의 이탈로 스타팅에서는 특유의 플로우 오펜스는 거의 없어졌고
빠르고 단순한 공격으로 반즈의 업그레이드인 듀란트의 아이솔 활용을 많이 하는것으로 보입니다.
그렇다고 듀란트쪽에 치우치는건 아니고 신기하게도 듀란트-커리-탐슨의 공격 비중이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.
오히려 공격 비중이 줄은건 이궈달라와 리빙스턴 입니다.
http://stats.nba.com/team/#!/1610612744/players-usage/?sort=USG_PCT&dir=1
'basketbal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16-17 워싱턴, 오클라호마, 시카고의 Flat Pick & Roll ... (0) | 2016.12.28 |
---|---|
[스크랩] 16-17 CHI vs UTA - 유타의 주요 작전들... (0) | 2016.12.28 |
[스크랩] 16-17 WAS vs SAS - 4쿼터 마지막 4분 센안의 오펜스 (0) | 2016.12.28 |
[스크랩] 하든을 잘 쓰고있는 휴스턴 로케츠의 시스템... (0) | 2016.12.28 |
크리스 폴 크로스오버 드리블 모음 (0) | 2016.12.25 |